인텔꺽은 삼성-세계반도체업체 순위,실적 및 점유율 (2017년) 철심장의 경제전망대

안녕하십니까? 철심장입니다.
시장조사기관 가트너(Gartner)가 2017년 세계 반도체업체의 매출과 시장 점유율 순위를 발표했네요
이에 따르면 삼성전자가 지난해 인텔을 제치고 사상 처음으로 세계 반도체 시장에서 1위를 차지했습니다. 메모리 반도체 초호황에 힘입은 탓으로 1992년부터 2016년까지 24년간 '왕좌' 자리를 지켜왔던 인텔을 끌어내렸습니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반도체 시장에서 612억1500만달러(약 65조715억원)을 벌어들여 매출 기준으로 1위를 차지했는데 전년 401억400만달러 대비 52.6% 증가한 수치죠.

매출 기준 삼성전자의 반도체 시장점유율은 14.6%인데  앤드류 노어우드 가트너 부사장은 "세계 최대 메모리 공급업체인 삼성전자가 인텔을 제치고 반도체 시장 1위를 차지했다"고 선언했습니다. 인텔이 1992년 반도체시장에서 첫 1위에 오른 이후 '왕좌' 자리를 내준 것은 이번이 처음이죠.

삼성전자의 이같은 매출 급증과 성장세는 대체로 D램과 낸드플래시 등 메모리 반도체의 '슈퍼사이클'(초호황) 덕분이라는 평입니다.

실제 낸드플래시 가격은 지난 1년 사이에 17%, D램은 44% 가량 증가했다. 저장장치에 활용되는 D램과 낸드플래시는 스마트폰, 태블릿PC 등의 성장세에 힘업어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어났습니다..
그러나 늘어난 수요만큼 공급이 원활이 이뤄지지 못해 계속해서 가격이 상승했고, 이에 따라 D램과 낸드플래시 분야 세계 1위인 삼성전자의 매출 증가가 자연스럽게 일어날 수밖에 없다는 것이죠. 지난해 3분기 기준으로 삼성전자는 D램 시장에서 점유율 40% 중후반, 낸드플래시는 30% 후반대을 차지햇습니다..

삼성전자에 1위 자리를 내준 인텔은 전년 대비 6.7% 증가한 577억1200만달러를 기록하는 데 그쳤는데 특히 매출 기준 반도체 시장 상위 5개 기업 가운데 성장률이 유일하게 한자리수에 그쳤습니다.

D램 시장 세계 2위인 SK하이닉스는 2016년 4위에 한계단 상승한 3위를 차지했죠. SK하이닉스의 지난해 반도체 매출은 263억900만달러로 전년 대비 79% 증가했습니다.

이어 △마이크론 230억6200만달러 △퀄컴 170억6300만달러 △브로드컴 154억9000만달러 △TI 138억600만달러 △도시바 128억1300만달러 △웨스턴디지털 91억8100만달러 △NXP 86억5100만달러 등을 기록했네요

다만 가트너는 중국 기업의 생산량 확대로 인해 올해 낸드플래시 가격 하락, 2019년에 D램 하락이 이뤄질 경우 삼성전자의 매출 감소로 이어질 수 있으며 또 싱가포르의 브로드컴이 미국의 퀄컴을 인수를 추진 중인데 브로드컴이 퀄컴을 인수하고 메모리 반도체 가격이 떨어진다면 이같은 순위는 오래가지 못할 것으로 전망했는데...글쎄요..두고봐야 알겠죠.

한편 전 세계 반도체 시장 규모는 4197억2000만달러(약 446조2883억원)으로 전년 3435억1400만달러(약 365조2584억원) 대비 22.2% 증가했습니다.

어쨋든 삼정전자, 하이닉스 화이팅 입니다!


민간핵무기개발추진위원회와 철타곤의 철   심   장


 




덧글

댓글 입력 영역



통계 위젯 (화이트)

10398
689
22552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