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심장]드디어 화이트홀 발견-블랙홀구조와 커계량,에르고스피어의 문제 물리학교실-특수,일반상대성이론

안녕하십니까?? 철심장입니다.

사실 나는 화이트홀을 부정했었다.아니 지금도 부정하고 있다. 

이유는 우주에서 한번도 관측된 적이 없기 때문...

화이트홀은 그 자체가 블랙홀에서 빨아들인 물질을 모조리 뿜어내는 천체라는 것인데 그런게 우주에서 관측안될 수가 있나?

눈에 안보이는 블랙홀도 찾아내는 마당에 화이트홀이 관측안된다는 것은 없다는 것이지....

그래서 화이트홀을 부정했었고 그런 의미에서는 아직도 부정하고 있다.

즉, 우주에는 화이트홀은 존재하지 않는다!(밑줄쫙~!)

아니 화이트홀을 발견했다며?

다시 말하면 화이트홀이 있기는 있는데 우주내에는 존재하지않는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화이트홀은 어디에 있나?


결론은.......화이트홀은 바로 블랙홀 내부에 있다!(밑줄쫙쫙~!)

그렇다! 화이트홀은 바로 블랙홀 내부에 존재한다.

그래서 우주에서는 화이트홀이 관측되지않는 것.


보통 유사과학자들이나 양아치 물리학자들은 블랙홀로 들어가 웜홀을 거쳐 화이트홀로 나오네마네 헛소리하고 있는데 웜홀은 전혀 존재하지 않으며 화이트홀은 존재하는데 그것도 우주가 아닌 블랙홀 내부에 존재한다는 것이다!

사실 블랙홀내부에 존재한다기보다 블랙홀내부에서 우주를 쳐다보면 하늘에선 오만갖은 물질들이 빛의 속도로 쏟아져 들어오는데 게 곧 화이트홀이란 예기....


즉, 다시말하면 블랙홀은 블랙홀밖의 우주에서보면 블랙홀이고 블랙홀 안에서보면 화이트홀이란 얘기가 되겠다.

이해하기 어렵나?


만약 블랙홀 내부에서 바깥우주를 보면 어떻게 보일까?

이게 내 블랙홀 논문중에 나오는 내용인데 그 논문을 준비하다보니 자연스럽게 화이트홀이 발견된 것이다.

결론만 간단히 얘기하면 블랙홀 내부에서 바깥 우주를 쳐다보면?


1.블랙홀의 하늘-블랙홀에서 본 우주는 넓지않고 작은 구멍 혹은 작은 구로 보인다.

2. 그 구멍(구)의 크기는 블랙홀마다 다르고 블랙홀의 질량에 비례한다.

3. 블랙홀 하늘에 뚫린 구멍(구)으로 빛과 흡수된 온갖 물질들이 초립자상태가 되어 쏟아져 들어온다.

4 .따라서 그 구멍(구)은 광자로 안해 하얗게 보이겠쥐....이것이 곧 모든 것을 쏟아내는 하얀 구멍-즉,화이트홀이다.


문제는 블랙홀안은 밖에서 볼때는 시간이 정지되 있고 따라서 안에서는 밖의 우주와는 다른 물리체계가 적용된다.

쉽게 말하면 다른 차원이란 얘기..

따라서 외부 우주의 역학으로 블랙홀 내부를 정의하거나 추정해보려는 노력은 무의미하다.

현재 물리학계는  블랙홀 내부역학을 초끈이론과 연계해 연구하고 있는데 연구자는 많고 나름 일리는 있지만 실은 완전 엉터리다..내부역학에 외부역학을 적용하려하기 때문이다. 대부분 블랙홀 내부도 외부같은 역학으로 적용시켜보려해서 발생한 오류라고 보면 된다.


대표적으로 회전하는 커 블랙홀의 에르고 스페이스에 대한 해석도 바로 대표적인 오류다.


커(Kerr)계량에는 ρ가 0 이되고  △가 0이 되는 두 경우에 특이성을 갖는다. 이중 △가 0이 될때의 반경은


%5Ccombi%20_%7B%20%5Cpm%20%20%7D%7B%20r%20%7D%3DM%5Cpm%20%5Csqrt%20%7B%20%5Ccombi%20%5E%7B%202%20%7D%7B%20M%20%7D-%5Ccombi%20%5E%7B%202%20%7D%7B%20a%20%7D%20%7D%20


의 두가지 경우로 두 개의 반경을 갖는데 따라서 두 개의 특이성을 갖는다는 얘기다.(이중 a=0인 r+의 경우는 r=2M(c=G=1)으로 슈바르츠쉴트 반경으로 환원된다.)

이 r+경계와 r-경계 사이 공간을 바로 에르고 스피어-작용권이라고 한다.


에르고 영역에서는 공간이 빛의 속도 이상으로 회전하고 있다는 것인데

공간은 물질이 아니므로 빛의 속도이상으로 돌 수 있다는 의견과 공간 역시 빛의 속도 이상으로 돌 수 없다는 의견이 맞물려 있지만

이 역시 블랙홀 내부를 외부적 역학적으로 해석해 나온 대표적인 오류다.

그렇다면 에르고 영역에서 진짜 일어나는 현상은 어떤 것일까?

블랙홀 내부에서는 진짜 어떤 현상들이 일어날까?

이게 바로 철심장의 논문의 핵심내용이다.

그 논문 준비하다보니 자연스레 블랙홀 내부에서는 하늘이 화이트홀로 보인다는 결론이 도출된 것임.

단,정지되고 전하를 띄지않은랙홀의 경우....커 블랙홀의 경우는 좀더 복잡해진다.


이것하나로도 논문을 쓸수있지만 이건 뭐 그냥 팬써비스차원에서 이렇게 비공식적으로 발표한다.

하지만 이것만으로도 논문에 버금가는 상당한 가치가 있다고 본다. 이제까지 물리학자들과 아마추어들을 동시에 혼동에 빠뜨렸던 화이트홀을 물리학적으로 정의한 것이니까.


언젠가 인터스텔라의 블랙홀 그림이 잘못된 것이라고 누누히 말해왔다.

그것이 왜 잘못되었냐면,...

불랙홀은 절대 구형으로 보이지않기 때문이다.블랙홀을 감싼 강착원판이나 광자구도 절대 외부에서 구형으로 보일수가 없다,

그렇다면 어떻게 보일까? 그것까진 아직 공개안하련다...내도 좀 먹구살자~ 푸훗~


어떻게 킵손같은 물리학자가 그런 엄청난 걸 놓쳤는지 아이러니하기만 하다.

나로선 그저 감사할 뿐.....^^V


철타곤 http://dk12.egloos.com/


민간핵무기개발추진위원회와 철타곤의 철 심 장

                                    아래 그림 틀렸다는거 꼭 가르쳐줘야 아나?

덧글

댓글 입력 영역



통계 위젯 (화이트)

151104
819
22546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