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십니까?물리학성 철심장입니다.
긴급히 들어온 소행성 대접근 소식이 있네요~
2023년 1월 23일에 크리미아 나우치니에서 겐나디 보리소프에 의해 발견된 2023BU라는 놈인데요~ 1월 27일 00:28 ± 00:02 UT 경에 지구 표면에서 약 3,597 ± 27km(2,235 ± 17마일)를 통과할 것으로 예상되는 운석입니다. 요 녀석은 2,000km(1200마일)의 저궤도와 36,000km(22,000마일)의 정지궤도 사이를 통과할 예정입니다.
이 소행성은 2023년 1월 27일 지구에 최근접한 지 4시간 뒤에 근일점 (태양에 가장 가까운 접근)에 도달하는데요
이 소행성은 직경이 약 4~8미터정도라서 지구 충돌의 위험은 없는데 왜냐면 이 소행성이 직경 8미터의 크기라고 가정하면, 소행성은 지상까지 도달하지 못하고 지상 약 30km에서 부서질 것이기 때문이죠!
참고로 직경 8미터의 운석에 의한 충돌은 5년마다 발생하고 직경 4미터의 물체에 의한 충돌은 매년 발생합니다.
따라서 이 소행성은 육안으로 보이지 않으나 운좋게 대기권에 진입해 불탈 때를 포착하면 떨어지는 별똥별 상태의 2023BU를 볼 수는 있겠지만 그 시간은 불과 1초도 넘지 못할 것이니 괜히 보겠다고 시간낭비하지 않는게 좋겠죠~! >~<
그래서 그것보다는 지난번 알려드린 C/2022 E3(ZTF) 혜성 우주쇼를 보는게 더 실감나고 유익하겠죠. 엊그제가 하이라이트였는데 아직 못보신 분들은 오늘밤이라도 쌍안경들고 밖으로~ ^^
긴급히 들어온 소행성 대접근 소식이 있네요~
2023년 1월 23일에 크리미아 나우치니에서 겐나디 보리소프에 의해 발견된 2023BU라는 놈인데요~ 1월 27일 00:28 ± 00:02 UT 경에 지구 표면에서 약 3,597 ± 27km(2,235 ± 17마일)를 통과할 것으로 예상되는 운석입니다. 요 녀석은 2,000km(1200마일)의 저궤도와 36,000km(22,000마일)의 정지궤도 사이를 통과할 예정입니다.
이 소행성은 2023년 1월 27일 지구에 최근접한 지 4시간 뒤에 근일점 (태양에 가장 가까운 접근)에 도달하는데요
이 소행성은 직경이 약 4~8미터정도라서 지구 충돌의 위험은 없는데 왜냐면 이 소행성이 직경 8미터의 크기라고 가정하면, 소행성은 지상까지 도달하지 못하고 지상 약 30km에서 부서질 것이기 때문이죠!
참고로 직경 8미터의 운석에 의한 충돌은 5년마다 발생하고 직경 4미터의 물체에 의한 충돌은 매년 발생합니다.
따라서 이 소행성은 육안으로 보이지 않으나 운좋게 대기권에 진입해 불탈 때를 포착하면 떨어지는 별똥별 상태의 2023BU를 볼 수는 있겠지만 그 시간은 불과 1초도 넘지 못할 것이니 괜히 보겠다고 시간낭비하지 않는게 좋겠죠~! >~<
그래서 그것보다는 지난번 알려드린 C/2022 E3(ZTF) 혜성 우주쇼를 보는게 더 실감나고 유익하겠죠. 엊그제가 하이라이트였는데 아직 못보신 분들은 오늘밤이라도 쌍안경들고 밖으로~ ^^


덧글